반응형
1. 빅테크 주가 부진 & 소비재 주목
- 매그니피센트 7(M7) 주가 부진으로 대체 투자처로 소비재 섹터가 주목받음.
- 트럼프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감세·규제 완화)**이 소비재 업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 금리 인하도 소비재 기업들에 호재로 작용.
- 밀레니얼·Z세대의 소비 트렌드 변화(친환경·구독경제·중고거래)도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
추천 소비재 3종목
반응형
1. 갭(GAP) - SPA 패션 브랜드
- 현재 주가: 20.13달러
- 목표 주가: 24~34달러 (컨센서스 28달러, 상승 여력 40%)
- CEO 및 크리에이티브 책임자 교체 후 온라인 매출 상승, 오프라인 마진 회복
- 재무 건전성 개선, 배당 10% 인상
2. 카니발(Carnival) - 크루즈 업계 1위
- 현재 주가: 19.92달러
- 목표 주가: 14~35달러
- 크루즈 수요 증가, 밀레니얼·Z세대 고객 확대
- 부채 감소 중, 현금흐름 개선 예상
- 코로나 이전 대비 저평가 상태 (EV/EBITDA 7배 vs. 과거 11.5배)
3. 드래프트킹스(DraftKings) - 온라인 스포츠 베팅 & 카지노
- 현재 주가: 37.87달러
- 목표 주가: 35~75달러 (컨센서스 57.61달러, 상승 여력 50%)
- 미국 25개 주에서 스포츠 베팅, 5개 주에서 온라인 카지노 운영
- 추가 합법화 가능성 & 트럼프 정부 규제 완화 수혜 예상
- 영업 흑자 전환 기대감
2. 미국 증시 조정 & 전망
증시 하락 원인 & 향후 전망
- JP모건 분석
- 최근 급락은 경기침체 우려 때문이 아니라 퀀트 헤지펀드(알고리즘 매매)의 포지션 조정 때문.
- 개인 투자자는 하락장에서 매수에 나섰으며, 주된 하락 요인이 아님.
- ETF로 자금 유입이 지속되면 증시 조정은 마무리될 가능성이 큼.
- 도이체방크 전망
- 미국 증시가 추가로 6% 더 하락할 가능성 존재.
-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기업·소비 심리 위축 초래.
- 하지만 하반기 관세 문제 해결 시, 주가는 반등 가능.
- 연말 S&P500 목표치 7,000선 유지 (현재 대비 24% 상승 가능성).
3. 결론
- 빅테크 대체 투자처로 소비재 업종(갭, 카니발, 드래프트킹스) 주목.
- 트럼프 정책(감세·규제 완화) & 금리 인하 효과로 소비재 섹터 수혜 기대.
- 증시 조정 원인은 경기침체보다는 퀀트 매매 영향 → 반등 가능성 존재.
- 단기 변동성은 있지만, 하반기 반등 기대감 유지.
2025.03.13 - [분류 전체보기] -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과 비용!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3일(목) 인기종목 BEST3/거래량⬆️ BEST3 (1) | 2025.03.05 |
---|---|
2025.02.28 주식거래현황 정리 (1)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