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다시 3058명으로 확정… 교육 정상화에 방점

by 피땀눈물1 2025. 4. 17.
반응형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다시 3058명으로 확정… 교육 정상화에 방점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최종 확정했습니다. 지난해 2000명 증원으로 총 정원이 5058명까지 늘었지만, 의정 갈등과 교육 혼란이 이어지면서 결국 다시 원래대로 되돌린 셈입니다.


📌 의대생 '전원 복귀' 미달에도 3058명 결정… 왜?

2024년 이후 1년 넘게 지속된 의정 갈등 속에, 정부는 의대 모집인원 조정의 전제 조건으로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복귀율은 평균 25.9%에 불과했으며, 일부 의대생은 '등록 후 투쟁' 방침을 고수하며 수업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예과 수업 참여율: 22%
  • 본과 수업 참여율: 29%
  • 본과 4학년 참여율: 35.7%
  • 서울 소재 의대 평균 참여율: 40%
  • 지방 의대 평균 참여율: 22%

총 40개 의대 중 참여율이 50%를 넘는 곳은 단 4곳뿐이었습니다.


📌 총장협·의대협의 요청, 정부가 받아들였다

이러한 낮은 복귀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 건의를 수용했습니다.

 

두 기관은 “의대 교육의 정상화가 더 이상 늦춰져선 안 된다”며, 2026학년도에 한해서 기존 정원으로 조정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들의 공통된 입장은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고 교육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자”는 것이었습니다.


📌 정부의 최종 결정과 입장

반응형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민께 의료개혁 후퇴 우려를 끼친 점에 대해 송구스럽다”며, “모집인원 조정을 통해 대학 입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의대 교육 정상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정부는 올해부터는 작년과 같은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수업 불참 시 유급 처리 등 엄정한 학사 운영이 예고된 상황입니다.

“더는 의대생을 위한 특별 조치는 어렵다.” - 이주호 부총리


📌 마무리: 갈등 끝에 되돌아간 정원… 이제는 복귀와 정상화가 관건

결국 의대 정원은 다시 3058명으로 돌아왔습니다. 다만 진정한 정상화는 단순히 숫자를 되돌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의대 교육의 질, 학생들의 복귀 의지, 그리고 의료계와 정부 간의 신뢰 회복이 뒤따라야 할 때입니다.

 

 

 

 

2025년 개인회생 치명적인 단점 4가지!! 꼭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오늘은 개인회생을 고민 중인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이야기, 바로 개인회생의 치명적인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인회생은 분명 빚을 정리

rich.y-sta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