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모르면 손해보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및 수령나이 확인하기!!

by 피땀눈물1 2025. 3. 20.
반응형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일정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한 후, 정해진 나이가 되면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아래에서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납부액 조회 방법, 연금 수령 나이 및 조건을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이용 (간편한 방법)

  • 예상 연금액 조회 가능


✔️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이용

  •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 앱 다운로드
  • 앱 실행 후 로그인 → ‘연금 예상액 조회’ 메뉴 선택
  • 예상 연금 수령액 확인


✔️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전화 문의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국번 없이 1355, 유료)
  • 본인 확인 후 예상 연금액 안내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 신분증 지참 후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 상담을 통해 예상 연금액 확인 가능


2.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이용

  • 국민연금 홈페이지 접속
  • 본인 인증 후 조회 가능


✔️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 이용

  • 앱 실행 후 로그인
  • ‘가입내역 및 납부내역 조회’ 메뉴에서 납부한 내역 확인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문의

  • 본인 확인 후 상담원에게 납부액 조회 요청

✔️  국민연금공단 방문

  •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여 납부 내역 확인 가능

3.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조건

반응형

✔️  연금 수령 나이 (노령연금 수급 연령)

출생연도에 따라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다릅니다.

출생연도 연금 수령 개시 나이
1952년 이전 60세
1953년 ~ 1956년 61세
1957년 ~ 1960년 62세
1961년 ~ 1964년 63세
1965년 ~ 1968년 64세
1969년 이후 65세

 

※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


✔️  국민연금 수령 조건 (노령연금 자격요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가입 기간 10년 이상 → 국민연금에 10년(120개월) 이상 가입해야 함
  2. 수급 연령 도달 → 위의 표에 따른 연령에 도달해야 함

✔️  조기노령연금 (일반 수령 연령보다 일찍 받는 경우)

  • 연금을 조기에 받고 싶은 경우
  •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수급 연령보다 5년 일찍 신청 가능
  • 단, 연금을 일찍 받을수록 지급액이 줄어듦 (1년당 약 6% 감소)


✔️  연기연금 (수급 연령 이후 늦게 받는 경우)

  • 연금 수급 연령이 되었으나, 연금을 늦게 받고 싶을 경우
  •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하며, 1년 연기할 때마다 7.2% 연금 증가

✔️  조기·연기 연금 예시

  • 1963년생(만 62세 수급) → 57세부터 조기노령연금 가능 (연금액 감소)
  • 1963년생(만 62세 수급) → 최대 67세까지 연기 가능 (연금액 증가)


4. 추가 혜택 (출산·군복무 크레딧 등)

📌  출산 크레딧 (출산한 경우 연금 가입 기간 추가 인정)

  • 첫째 아이부터 크레딧 적용 (2025년 개정)
  • 1명: 6개월 추가 인정
  • 2명: 12개월 추가 인정
  • 3명: 18개월 추가 인정
  • 4명 이상: 최대 50개월 추가 인정

📌  군복무 크레딧 (군대 복무 기간에 대한 가입 기간 인정)

  • 현행 6개월 인정 → 2025년부터 12개월 인정


📌  국민연금 지급 보장 명문화 (2025년 개정)

  • 국민연금 지급에 대한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되더라도 정부가 지급을 보장

5. 국민연금 개혁 주요 변경 사항 (2025년 개정)

  • 보험료율 인상: 2026년부터 매년 0.5%씩 인상하여 최종 13%
  • 소득대체율 인상: 40% → 43% (2026년부터 적용)
  • 출산 크레딧 확대: 첫째 아이부터 적용
  • 군복무 크레딧 확대: 6개월 → 12개월
  • 국민연금 지급 보장 명문화


6. 결론

  1.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모바일 앱, 콜센터, 방문 등을 통해 확인 가능
  2. 납부액 조회는 홈페이지, 모바일 앱, 콜센터, 방문을 통해 확인 가능
  3. 연금 수령 연령은 출생연도별로 다르며,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야 수령 가능
  4. 조기노령연금(최대 5년 앞당겨 수령)과 연기연금(최대 5년 늦춰 수령) 선택 가능
  5. 2025년 개정안에 따라 보험료율·소득대체율 인상, 출산·군복무 크레딧 확대, 지급 보장 명문화

국민연금 개혁으로 인해 앞으로 연금 수급액이 증가할 예정이므로 본인의 납부 내역을 잘 확인하고 연금 수령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3.20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필수사항 완벽가이드!!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필수사항 완벽가이드!!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202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소득에 대해 이루어집니다. 아래에 신고 대상, 방법, 환급 신청 기간 등을 자세히 정리하였으니꼭 신청하셔서 환급받으시길 바랍니다. 1. 종합

rich.y-star.kr

 

반응형